글
[안드로이드] 데이터 바인딩 라이브러리
오늘 회사 채팅창에 데이터 바인딩 라이브러리 이야기가 잠깐 나와서 살펴봄..
(도대체.. 이게 소개된 게 Android Plugin for Gradle 1.5.0-alpha1 이후 부터인데 이제야..)
사내 프로젝트에서는 버터나이프조차도 쓰는 일이 없어서, 어떤 것인가 살짝 맛만 봄...
(참고 사이트)
구글 개발자 문서
https://developer.android.com/topic/libraries/data-binding/index.html#build_environment
박상권님의 블로그 - basic, butterknife, data binding 3개의 코드를 비교해 놓은 샘플이 보기 좋음
http://gun0912.tistory.com/71
(결론)
findViewById() 없이 xml의 View를 자동으로 Binding 해 준다.
그래서 실제 로직과 관계없는 바인딩 코드를 없애줘서 소스의 가독성이 높아진다.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드로이드] 데이터 바인딩 라이브러리 (1) | 2018.01.23 |
---|---|
PKI 의 기본 개념 설명 (0) | 2017.03.23 |
[Java] non-static inner class 는 메모리 릭을 발생시키는가? (0) | 2016.11.18 |
Mockito, PowerMock, Roboletric 어떤 것을 선택할 것인가? (2) | 2016.10.25 |
전체 프로젝트에서 한 번만 사용하는 스트링도 Constant로 사용해야 할까? (0) | 2016.06.23 |
Technical Debt (기술적 빚 / 기술부채) (0) | 2016.05.19 |
글
PKI 의 기본 개념 설명
[PKI] 보안에서 말하는 PKI의 기본 개념 간단 설명
PKI 에 대해서 간단히 잘 설명해 놓은 글이 있어 기억해 둠...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드로이드] 데이터 바인딩 라이브러리 (1) | 2018.01.23 |
---|---|
PKI 의 기본 개념 설명 (0) | 2017.03.23 |
[Java] non-static inner class 는 메모리 릭을 발생시키는가? (0) | 2016.11.18 |
Mockito, PowerMock, Roboletric 어떤 것을 선택할 것인가? (2) | 2016.10.25 |
전체 프로젝트에서 한 번만 사용하는 스트링도 Constant로 사용해야 할까? (0) | 2016.06.23 |
Technical Debt (기술적 빚 / 기술부채) (0) | 2016.05.19 |
글
시너지(Synergy) v1.8.8 - 한글키 패치 포함
(블로그 이전)
http://ommokazza.blogspot.com/2017/07/synergy_19.html
'Syner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너지(Synergy) v1.8.8 - 한글키 패치 포함 (4) | 2017.03.13 |
---|---|
Synergy v1.8.8-rc1 버전 테스트 부탁드립니다. (한글키패치 적용) (8) | 2017.02.02 |
드디어 Synergy 공식 소스에 한글키 패치가 적용되었습니다. (3) | 2017.01.26 |
Synergy 1.8.5 한글키 패치 버전. (Shift-Space 키 지원 추가) (11) | 2016.12.13 |
Synergy 1.8.3 한글키 패치 (1) | 2016.09.30 |
Synergy 1.8.2 한글키 패치 (0) | 2016.08.19 |
설정
트랙백
댓글
-
그동안 수고많으셨습니다.
한가지 질문드리고 싶은게 있는데요
github에 있는 소스로 mac 에서 우여곡절끝에 빌드를 하였습니다.
그런데 막상 실행을 시키니 빈화면으로 아무글자도 표시가 되지않습니다.
혹시 이런 문제를 겪어보신적은 없으신지요...? -
포스팅 감사합니다.
저는 라즈베리파이에서 사용중인데 잘 되네요 ㅎㅎ
다만.. 로그인화면까진 잘 동작하나, 시작프로그램에서 실행이 안되네요.
startup application이 없어 /etc/rc.local 을 수정하여
synergyc 192.~~ 를 해줬는데도 똑같네요
해결방법있을까요?-
아자 2018.01.03 22:23 신고
라즈베리파이에서 시너지를 이용하는 분이 있었군요... 놀랐네요..ㅎㅎ
제가 리눅스의 세세한 설정까지는 알지 못해서 정확한 해결책은 말씀드리지 못할 거 같네요.
다만 /etc/rc.local 의 경우 Desktop Environment 의 Startup Application 과는 다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GUI 환경이 필요한 시너지를 저기에서 실행할 경우 제대로 동작이 안될거 같다는 생각은 드는군요.
라즈베리파이의 Desktop Environment 를 어떤것을 사용하시는지 모르겠습니다만, 해당 DE 에서 Startup Application 을 등록하는 방법을 찾아 해당 위치에 시너지를 실행하는 명령을 추가하면 어떨까 싶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