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Synergy v1.7.6 한글키 패치, 소스, 문제 분석 및 테스트 요청
블로그 이전으로 아래 링크로 변경되었습니다.
http://ommokazza.blogspot.kr/2017/07/synergy.html
'Syner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Synergy 1.8.3 한글키 패치 (1) | 2016.09.30 |
---|---|
Synergy 1.8.2 한글키 패치 (0) | 2016.08.19 |
시너지(Synergy) 한글패치가 Nightly Build 시작하나 봅니다. (16) | 2016.04.22 |
Synergy v1.7.6 한글키 패치, 소스, 문제 분석 및 테스트 요청 (28) | 2016.04.11 |
Synergy 1.5.1 한글키 패치 & 빌드 방법 (2016.11.24 수정) (3) | 2014.10.08 |
Synergy 사용 시 Outlook 응답없음 문제 해결법.. (0) | 2014.01.16 |
설정
트랙백
댓글
-
-
아 정말 감사합니다. 이 부분 찾고 있었는데...
그냥 한영 키 고치는 거는 다른 데서 보고 쭉 빌드하면서 쓰고 있었는데 이번에 키보드가 텐키리스 87키 형식이라 해결 못하고 있었네요...
혹시 코드에서 어느 파트 바꿔야하는지도 알려주실 수 있나요..?-
아자 2016.01.29 14:15 신고
안녕하세요?
일단 키보드가 종류에 관계없이 윈도우쪽 키보드 레이아웃이 중요합니다.
서버쪽에서 Alt 키를 눌렀을 때, 생성되는 Virtual Key 값이 VK_HANGUL
이라면 문제가 없겠습니다만,
특별히 입력기에서 오른쪽 Alt 키를 직접 한영전환으로 사용하고 있다면
동작하지 않을 수도 있겠습니다.
중요한 점은 서버에서 해당 키가 어떤값으로 클라이언트로 넘어가냐 인데요,
윈도우 설정을 손봐서 수정할 수도 있는 부분인거 같습니다.
둘 다 윈도우키를 쓰신다면 서버에서 생성한 키값이
클라이언트로 동일하게 넘어갈 텐데, 두 컴퓨터의 한영키 처리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일 수도 있을거 같습니다.
일단 저의 한글패키 코드는
https://github.com/ommokazza/synergy/tree/hangul_key_patch
위 주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나즈나 2016.03.06 18:34
서버 윈10 클라 윈7 사용중입니다. 너무 잘됩니다.
한영키 여전히 안되서 이번엔 또 어떻게 빌드해야하나 했는데 감사히 쓰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혹시 맥(서버) -> 윈도우 (클라이언트) 사용중인데
서버가 한글일 경우 윈도우에서는 UTF-8이 적용이 안되고 입력이 불가능한데
이버전으로 수정이 가능한건가요?? -
limecode 2016.03.22 15:59
정말 감사합니다. 항상 몇년간 궁금했는데 덕분에 개발할 때 매우 유용하겠네요. 소스까지 공개되어 있다고 하시니 공부해보겠습니다. 완전 완전 감사합니다~~!!!!!!!
-
Server : ubuntu
Client : windows7
한영키가 안먹습니다.ㅜ
키보드는 104키보드 사용중이며 모델은 한성 officemaster 입니다.
client에서 로그를 보았을 때 한영키 값이 0xef73 한자키 값이 0xefe4로 전달 되는데 이 값이 인식 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시너비 버전으로는 1.8.1 stable 64비트 버전을 쓰고 있습니다. (서버 클라이언트 둘다)
제가 회사여서.ㅜ visual studio 2010을 다운 받을 수가 없는데 혹시 패치...해주실 수 있는지 여쭤봅니다.
추가로 필요한 정보가 있으시다면...알아보겠습니다..-
아자 2016.04.15 16:15 신고
104키보드의 경우 한영/한자키가 없는 모델입니다.
그래서 말씀하신 키의 심볼값은 Right-Alt / Right-Ctrl 키로 생각됩니다.
윈도우 쪽에서는 해당 키가 단순히 위의 키로 인식이 되리라 생각되고요,
그래서 윈도우쪽의 키보드 레이아웃을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윈도우쪽이 101/104키 키보드 레이아웃이라면 좀 더 분석이 필요할거 같고요
윈도우쪽이 103/106키라면 한영/한자키를 포기하고 101/104키로 키보드 레이아웃을 변경하거나,
Right-Alt / Right-Ctrl 키를 포기하고 해당 키를 한영/한자변환키로 동작하도록 입력기 설정을 변경하거나(방법이 있는지 모르겠네요..) 혹은 레지스트리를 수정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리눅스쪽에서 해당키가 한영키로 동작하는 경우에 대한 예외처리를 하는 방법이면 가능할까 싶기도 합니다만...
이건 시너지의 리눅스쪽 구현을 찾아 수정을 해야하는 부분이라 저의 패치사항으로는 해결이 될거 같진 않습니다. -
슈베어 2016.04.15 16:51
말씀해주신 것 처럼 클라이언트로 사용하는 윈도우의 키보드 는 103/106이라고 하는 키보드 입니다.
한영키와 오른쪽 ALT가 존재하는 키보드...
해당 키보드의 레지스트리를 변경하여 레이아웃을 변경하여도.. .적용되지 않습니다.. 제가 해본 방법을 아래쪽에 나열 해보겠습니다.
1. synerge 클라이언트를 빌드하여 Ubuntu 서버에서 한영키를 입력 하였을 때 넘어오는 값인 0xef7e 값을 한영 키에 입력하여 수정한 후 빌드
- 사용 가능한 visual studio가 2015 라서 빌드를 실패하여 ㅠ 삽질중..
2. client에서 사용하는 키보드의 레이아웃을 변경 하여 한영키가 적용되는지 확인
- 101a, 101b, 101c, 103 으로 변경하였으나 모두 실패
3. keyTweak 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한영키를 다른키로 임포트 하여 사용
- 해당 프로그램에서 Ubuntu에서 입력하는 값을 인식하지 못하여 실패
4. 새로운 한글 입력기를...설치.
- 날개셋이라는 편집기를 사용
- shift + space를 한영 전환으로 사용 할수 있게 됨
5. Ubuntu에서 한영키를 입력 하였을 때 넘겨주는 값을 변경
- 시간이 너무 오래걸려서..ㅜ 진행중 이지만 거의 포기...
엉엉
혹시
static const KeyID kKeyHangulKana = 0xEF26; /* Hangul, Kana */
의 값을 0xEF7E로...
바꿔서 컴파일...해 주실 수 없을까요...?ㅜㅜ
-
-
해결 하였습니다.
해결 과정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결론부터 말씀 드리면 위쪽 댓글의 5번 사항으로 해결 하였습니다.
문제 현상
- 우분투에서 nabi 한글 입력기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해당 값에서 제 키보드에서 한/영 키를 눌렀을 때 0xEF7E 값이 전달 되는 것을 확인
- 0xEF7E 값은 windows7 쪽에서 인식 하지 않는 값이어서 한영 전환이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
문제 원인 추측
- 한성 officemaster 키보드를 사용하고 있는데 해당 키보드의 한영 키가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아.. 이거?
- nabi의 문제?
- 우분투에서는 101/104 키보드 (서버), 윈도우에서는 103/106 키보드(클라)를 꽃아서 사용한 것?
문제의 해결
- nabi 한글 입력기를 2015년 10월에 나온 dasom이라는 입력기로 변경.
- dasom내에서 한글 입력 키를 변경하여 주자 위에서 말한 0xef31 값으로 날아오는 것을 확인
- 본문에 첨부된 1.7.6-rc3 64bit를 설치하여 한/영 키가 먹히는것 확인
어후.ㅜ 길었네요..
도움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
아 정말 감사합니다. 너무 잘됩니다. 그동안 type3으로 변경해서 불편하게 사용했는데 한방에 해결이 되네요. 너무너무 감사드리며 추후 버젼도 부탁드립니다.ㅠㅠ 혹시 리눅스도 가능한가요?
-
감사합니다. 윈7 (서버) - 우분투 으로 잘 되는것 확인하였습니다.
저는 한글은 잘 되는데, copy & paste 가 안되네요....ㅠㅠ -
CentOS 7 서버(1.7.6 64bit)
Win 7 클라이언트(32bit)
한영키 안 먹어서 Win 클라이언트만 바꿨는데 잘 되네요ㅎㅎ 감사합니다.